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노작홍사용

전체메뉴보기


노작홍사용

작가연보

1900
1세 6월 13일 (음력 5월 17일) 경기도 용인군 기흥면 농서리(용수골)에서 아버지 대한제국 육군헌병 부위였던 홍철유(洪哲裕)와 어머니 능성(稜城) 구씨(具氏)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남, 본적지는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석우리(돌모루) 492번지. 생후 백여일 후에 서울 재동으로 옮겨 유년기를 보냄, 그의 부친 홍철유와 백부 승유(升裕)는 용인 및 화성 일대에 많은 농토를 가졌던 지주였으므로 어려서 유족한 가정환경에서 자랄 수 있었음. 아호로는 노작(露雀), 소아(笑啞), 백우(白牛) 등이 있으나, 주로 노작을 많이 사용. 별명으로는 돌부처, 고고문사(枯高文士), 대리석, 고양이, 열두박사(아는 것이 많다는 뜻) 등.
1907
8세 군대 해산으로 아버지와 함께 본적지인 석우리로 돌아와 휘문의숙에 입학할 때까지 사숙에서 한학을 공부.
1908
9세 1881년 사망한 백부 홍승유의 양자로 들어갔다. 백모 한산(韓山) 이씨(李氏)를 양모로 모심.
1912
13세 두 살 위인 원효순(元孝順)과 결혼.
1916
17세 휘문의숙에 입학. 서울 의주로에서 하숙.
1918
19세 휘문고등보통학교로 개칭. 학우 정백(鄭栢), 월탄(月灘)과 함께 유인물 『피는 꽃』을 펴냄.
1919
20세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3·1운동 때 학생운동에 참여했다가 피체되었으나, 바로 풀려나와 6월에 낙향, 정백과 함께 고향에 은신하면서 합동 수필 「청산백운」과 시「푸른 언덕 가으로」를 발표. 장남 奎善(규선) 출생.
1920
21세 다시 서울로 올라와 월탄, 정백 등과 함께 서광사(曙光社)에 관여하면서 동사에서 『문우』를 창간하고, 이 잡지에 「크다란 집의 찬 밤」을 발표.
1921
22세 재종형 사중(思仲)을 설득하여 문화사(文化社)를 설립, 문예지 『백조』와 사상지 『흑조』 창간을 준비. 시 「비 오는 밤」을 『동명』7호에 발표. 장녀 여선(女善) 출생
1922
23세 1월에 『백조』창간호 발행, 5월에 동지 2호 발행.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
1923
24세 「노래는 회색, 나는 또 울다」 첫머리에 시를 넣고 쓴 수필을《동아일보》1월 1일자에 발표. 5월에 극단 <토월회>에 참여하면서 1회 공연의 자금을 조달.
1924
25세 <土月會(토월회)>의 3회 공연 때부터 문예부장직을 맡으면서 본격적 연극 활동을 하는가 하면, 재정적인 지원도 하게 되었다. 직접 「회색의 꿈」을 연출, 창작 희곡 「산유화」를 씀.
1925
26세 『개벽』 61호(7월)에 소설 「봉화가 켜질 때에」를 발표. 9월 이광수(李光洙)의 「개척자」, 「재생」, 「무정」 등을 각색하여 연출.
1927
28세 2월 박진(朴珍), 이소연(李素然) 등과 함께 극단 <산유화회>를 조직. 7월 희곡 「향토심」과 번역 작품 「소나기」를 연출. 차녀 형애(馨愛) 출생.
1928
29세 5월 『별건곤』 12~3호에 평문「조선은 메나리 나라」를 위시하여 『여시』와 『불교』지에 희곡「할미꽃」,「흰 젖」, 수필「귀향」 등을 발표 불교사 주최 음력 5월 8일의 경축 공연에서 희곡「출가」공연. 희곡「벙어리굿」을 썼으나, 초교에서 검열에 걸려 전문 삭제 당함.「5남매」를 번안 연출.
1929
30세 우석 박진 집에 기거, 각혈과 방랑생활이 시작됨. 희곡「제석」을『불교』56호에 발표.
1933
34세 『신조선』,『월간매신』지에 시조「한선」과 민요조시「월병」을 발표
1934
35세 삼녀 진선(軫善)이 둘째 부인 황숙엽(黃淑燁)과의 사이에서 출생.
1935
36세 자하문 밖 세검정 근처에서 한방의학을 공부하여, 그것으로 생계를 유지.
1936
37세 1월「명성이 빛날 시」예천좌 공연. 9월 산문「백조시대에 남긴 여화」를『조광』11호에 발표.
1938
39세 부인 원씨와 장남이 화성에서 서울 마포구 공덕동으로 이사. 둘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사녀 묘선(昻善) 출생.
1939
40세 희곡「김옥균전」을 썼으나, 총독부의 검열에 걸려 주거까지 제한을 받게 됨. 그 후 절필. 차남 문선(文善) 출생.
1940
41세 강경, 전주 등지에서 교편을 잡음. 사찰순례 및 불경연구를 함.
1945
46세 8·15 해방과 함께 근국청년단 운동에 참여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947
48세 1월 5일 (음력 1946년 12월 14일), 폐환으로 마포구 공덕동 장남 집에서 사망. 유해는 고향인 화성군 동탄면 석우리(돌모루) 묵실에 묻혀 있음.
청산백운1 청산백운2

1919년 3.1운동으로 옥고를 치루고 낙향하여 정백과 함께 은신하면서 발표한 합동수필집 『청산백운』 초교본 표지와 본문(부분).
표지는 노작선생님이 직접 쓰셨습니다.




장손 홍규선씨의 결혼기념 사진

1939년 2월. 장손 홍규선씨의 결혼기념 사진입니다. 맨 뒷줄 왼쪽에서 세 번째가 노작선생님이며 그 옆이 주례 춘원 이광수입니다.
앞줄 오른쪽 세 번째는 원씨 부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