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작홍사용

전체메뉴보기

노작 홍사용 문학관 시민들의 쉼터이자 문화충전소가 되겠습니다.

노작홍사용


HOME노작홍사용노작홍사용

노작홍사용

백조

백조 상세보기
분야 소재지 발행연도 발행
순문학 동인지 서울 1922년 경성문화사

백조 1, 2, 3호

제1호에 월탄(月灘:박종화)의 시 《밀실로 도라가다》를 비롯하여 이상화의 《말세의 희탄》, 나도향의 소설 《젊은이의 시절》 등, 1922년 5월에 간행된 제2호에는 회월(懷月:박영희)의 시 《꿈의 나라로》, 노작(露雀:홍사용)의 《봄은 가더이다》, 월탄의 《흑방비곡(黑房悲曲)》등, 1923년 9월에 간행된 제3호에는 시에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 노작의 《흐르는 물을 붙들고서》 《나는 왕이로소이다》 《그것은 모두 꿈이었지마는》, 소설에 나도향의 《여이발사(女理髮師)》, 월탄의 《목매이는 여자》 등이 실려 있다. 이들 작품에는 ·3.1운동의 실패에서 온 절망감이 그대로 반영되어 애수와 한, 그리고 자포자기적인 영탄(詠嘆)과 유미탐구(唯美探究)의 경향이 뚜렷하다.(사진1)
백조지 창간호 표지

사진1) 백조지 창간호 표지(1922년)

1922년1월 9일 창간된 근대 낭만주의 문예종합지

백조가 처음 나온 것은 1922년 1월 9일 홍사용, 홍사중과 김덕기의 후원으로 순수문학 동인지인 《백조》가 창간되었다. 편집은 홍사용이 맡았지만, 발행인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1호는 배재학당의 교장직에 있었던 아펜젤러, 2호는 보이스여사, 3호는 러시아에서 망명한 훼루훼로로 외국인을 내세웠다. 백조의 첫 호에는 수상류 및 동화, 희곡 등이 게재되었는데, 의욕이 너무 강한 나머지 2, 3편의 작품을 한꺼번에 수록하면서 질적인 면에서 조금은 아쉬운 창간호였다. 2호는 1호보다 좀 더 절제되고 정돈된 느낌으로 안정감을 주기도 했지만, 그 체재와 작품의 뼈대에 해당되는 의식이라든가 사조, 경향 등은 창간호와 대체로 비슷했다. 1호, 2호가 한해에 출간된 것에 비해 3호는 1년 여만에 출간할 수 있었는데, 순탄하지 못했던 출간 사정을 짐작해 볼 수 있다. 3호가 지니는 보람은 이 호가 전례 없이 질적 향상을 이룩한 작품들을 수록한 데 있다. 대표적으로 《할머니의 죽음》,《목매이는 여자》,《여이발사》 등이 실려 있으며, 홍사용의 대표작 《나는 왕이로소이다》도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백조파에 대한 강한 반감을 지니고 있던 김기진의 와해공작으로 백조는 3호를 마지막으로 끝나고 말았다.

백조와 홍사용

그는 백조에 대한 지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한 권의 시집도 내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한다. 또한 1922년 우리나라 최초의 순수문예 동인지 《백조》 창간의 중추적인 인물로 박종화, 현진건, 박영희 등과 함께 활동하나 그들보다 평가받지 못한다. 특히 시, 소설, 희곡, 수필 등의 다양한 글쓰기가 도리어 그를 한 가지 이미지로 부각될 수 없게 했다. 그러나 그는 대다수 낭만주의 시인들이 외국풍조에 휩쓸릴 때 민중의식이 스민 민요에 관심을 갖고 민족적 서정성을 끝없이 탐구하고 형상화한, 흔치 않은 시인이었다. 홍사용이 근대문학사상 중요한 위치에 서 있는 이유는 한국의 낭만주의 문학을 이끌어온 《백조》동인이면서 실질적으로 백조를 운용한 점이다. 또한 당시 우리문단에서 종횡무진 횡행했던 문학의 맹목적인 서구화와는 달리 전통적인 맥락에서 시를 창작하고 민족적인 이념을 그의 시를 통해서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백조 동인의 시적인 경향에 비추어 감상적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인물 혹은 현실을 떠난 주관적인 정열과 몽환적인 세계의 감상적인 경향으로 그의 문학을 치부해 버렸다. 이러한 점은 그의 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 이전에 문예지를 중심으로 한 선험적인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